반응형 도서/8. 인문학. 여행. 역사.심리학81 로마인 이야기 15 - 로마 세계의 종언 로마제국은 왜 참혹한 최후 피하지 못했나 ? [들어가며] 마지막 15권 “로마 세계의 종언” 은 서고트족장 오도아케르에게 땅을 내어 주며 로마라는 국가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476년, 로마제국이 멸망했다! 기원전 753년 전설의 왕 로물루스가 테베레강의 일곱 언덕에 작은 촌락을 세운 때부터 헤아리면 1229년 만의 종말이다. 도시국가에서 출발했지만 수많은 위기를 극복한 끝에 전 지중해 세계를 정복했고,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일대에 대제국을 건설했다. “로마=문명” 이란 등식이 성립될 만큼 포용력이 좋은 그들의 생활양식은 주변 민족과 지역을 압도하였다. 마지막 충신 스틸리코가 살해 되면서 이미 썩을 대로 썩은 로마를 몇 사람의 노력만으로 구 할 수 없게 되었으며 “팍스 로마나.. 2023. 1. 29. 로마인 이야기 14 - 그리스도의 승리 종교에 무릎을 꿇은 로마 [들어가며] “그리스도의 승리” 14권에는 황제가 주교 앞에서 무릎을 꿇는 장면이 나온다. 이제 로마는 황제 위에 벼슬이 하나 더 생겨 황제의 힘이 약해 제국의 안정을 보장 받을 수 없는 모습으로 바뀌어 나간다. 시오노 나나미 여사는 로마의 자랑스러운 마지막 불꽃이라고 수도장관을 역임한 심마쿠스에게 한 표를 던지며 일신교인 기독교에 대한 거부감과 아쉬운 표현을 많이 한 그리스도의 승리 책을 펼쳐봅니다. [시사점] 1.유일신과 다신교 1) 로마는 다신교를 바탕을 둔 민족으로 종교적으로 아무런 갈등이 없었는데, 유일신인 기독교가 번창을 하면서 개종이라는 개념을 가진 기독교가 생기면서 종교적 갈등이 사회에 대두된다. 2) 종교가 “관용’을 가지지 못했다는 것은.. 2023. 1. 28. 로마인이야기 13 - 최후의 노력 저물어 가는 로마를 바라 보면서 [들어가며] “최후의 노력” 13권에는 두 명의 황제 이야기로 마무리 된다. 외세의 침략을 막으면서 안간힘을 쏟아 부운 황제의 근위대장 출신의 디오클레티아누스와 후세에 대제의 소리를 듣는 선술집여자의 딸에서 태어나 밀라노 칙령을 선포한 콘스탄티누스 이야기가 펼쳐진다. 두 황제의 역할과 성격이 판이하게 다른 두 사람이 저물어 가는 로마의 가도를 보수 하려는 노력이 역력히 보인다. [시사점] 1.황제들이 구사하는 정치형태 1) 4두 정치의 장단점 장 점 1. 외적의 싸움에 대한 많은 전과를 올릴 수 있다. 2. 4사람 모두 책임으로 정해진 구역에서 실적을 올리려고 노력을 한다. 3. 군사력이 질적 및 양적으로 향상된다. 4. 중무장 보병이 기병으로 탈바꿈한.. 2023. 1. 27. 로마인 이야기 12 - 위기로 치닫는 제국 쇠퇴하는 로마를 보며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들어가며] 12권 위기로 치닫는 제국 나나미 여사의 제목처럼 내용 표현이 적절히 잘 되었다. 역사를 통해 한 나라가 쇠퇴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에 사는 우리들에게 많은 교훈을 주며 오랫동안 번영을 누렸던 로마가 점차 “쇠망” 하는 과정을 추적하여 우리의 각오와 마음가짐을 새로이 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시사점] 1.3세기 황제와 군인의 현실 1) 쇠퇴하는 제국 카라칼라 황제에서 마지막에 잠시 나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은 그리 길지 않다. 73년에 황제는 23명이나 배출 되며 평균 잡아 3년에 1명꼴로 바뀌었으며 제명에 죽은 사람이 거의 없었다는 내용이다. → 23명중 자질이 있고 로마를 사랑하고 아낌없.. 2023. 1. 2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