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서/8. 인문학. 여행. 역사.심리학81 마흔의 마음학 "마흔의 마음학" 인생의 중간지점인 40대에 중간 검사를 해 보게 하는 책이다. 늘 정해진 일의 틀에서 잘 벗어나지 않으며 반복되는 나날의 연속에서 한번 방향을 틀어봐도 되지 않을까 ? 살아가면서 부대끼는 일들을 자세히 기록 해 놓아 공감이 가고 지내온 일들이 반성도 되는 글 들이 많이 있다. 지금 하던 것을 내려 놓고 그 방향이 어느 쪽을 가든, 무엇을 다시 시작을 하든 쉽지는 않겠지만... 오래 전부터 집안 남여의 일이 구분되어 있는 풍습에서 이제는 좀 모두에게 홀가분하게 벗어 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집안 청소와 빨래 설겆이등을 하는 일이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와 있는 것처럼 누가 당연히 하는 일이라고 생각을 하는 것을 바꿔야 하지 않나 ? 로보트가 점심메뉴를 갖다 주는 이 시대에... 아무런 .. 2022. 12. 17. 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 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 가끔 사극을 보다 보면 선비들이 한자로 된 책을 열심히 읽고 있으며 한자를 읽고 바로 내용의 뜻을 알고 넘어 간다는 것이 좀 신기해 보인다. 옛날 선비들 한자는 뜻을 알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 책을 읽으며 암기 공부를 하였을까? 여기 논어의 책도 그와 비슷한 느낌을 받는다. 지금까지 오랜 세월 속에서 잊혀지지 않고 여전히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여전히 책의 가치가 대단하기 때문이다. 특히 삶이 버겁고 고통스러울 때 많은 사람들이 이 책에서 처세와 지혜를 찾는다. 세상은 급속도로 변화를 맞이하며 극도의 편리, 편안함을 제공하고 있지만 내면은 여전히 공허하고 허탈하다. 이 어지러운 시대에 우리는 다시금 옛 위인의 지혜을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그 정수가 바로 논어이다.. 2022. 12. 16. 딱 1분만 읽어봐 딱 1분만 읽어봐 1분 짧은 시간 같아 보이지만 오래 전 홍보된 3초의 미학 시간이 있었다. 엘리베이터에서, 횡단보도에서, 다급하게 끼어드는 차량, 친구와 해어질 때 뒤 모습 3초만 더 보자 그 친구가 뒤 돌아 보았을 때 허전하지 않도록, 정말 화가 났을 때 3초만 참아보자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이처럼 3초가 얼마나 소중한가 그런데 1분이면 지구를 한 바퀴 돌 수 있는 생각을 할 시간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돈은 매우 귀하게 다루면서 시간은 너무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이 책은 150여가지의 1분짜리 이야기를 담아 놓았다. 택배 물건을 문 앞에 두었는데, 왜 안 훔쳐갈까?, 한국인은 왜 매운 맛을 사랑할까?, 몽골인들은 진짜 시력이 좋을까? 150가지 이니 150분이 소요 되는 셈이다... 2022. 12. 15. 이전 1 ··· 11 12 13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