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철학3

하버드 철학 강의 하버드 철학 강의 ​ 대학 하면 떠오르는 미국의 하버드 대학 우리나라 가수 타블로가 나왔다고 해서 한 동안 이슈가 되었다. 영국은 캠버리지, 중국은 베이징, 한국은 서울대학 등을 우수 학교로 쳐준다. 하버드 대학에서 8명의 대통령, 그리고 40명이 노벨 수상자라고 하니 세계에서 가장 으뜸인 대학임에는 틀림이 없다. ​ 사람은 누구나 좋은 대학에 가려고 초.중.고 12년 동안 시간관리를 하여 열심히 공부를 하지만, 공부한 사람 모두 SKY 즉 서울.고려.연세 대학에 갈 수는 없다. 입학 인원이 정해져 있기에, 그러나 SKY의 용 꼬리 보다는 덜 유명한 대학의 용 머리가 더 좋을 것 같다. 우리가 철학을 배우는 목적이 무엇일까?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가치를 높이려고 공부을 하며 책도 많이 읽고 지식을 쌓는다.. 2023. 8. 12.
좋은 삶을 위한 가치 수업 가치와 윤리는 우리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치는 삶의 원동력이며 살아가는 이유가 된다. 무엇을, 어떻게, 왜 추구하면서 살아갈 것인지에 답하는 것이 개인의 가치관이다. 대충 살 것이 아니라 좋은 삶을 살고자 한다면, 무엇이 정말로 중요하냐는 질문에 답해야 한다. ​ 그와 동시에 가치와 윤리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답이 없는 문제에 대해서 굳이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질지도 모르는 타인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가치와 윤리에 관한 대화는 꼭 필요하다. 우리는 같은 고민을 하면서 같은 시대와 장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 대화를 통해 우리는 조금씩 서로의 입장을 조정해 가며 함께 설 수 있는 공통의 자리를 찾는다. 이 책은 한창 가치관을 형성.. 2023. 2. 5.
화내는 용기 우리 주변에는 인생의 앞날을 막아서는 사건이나 사람들이 넘쳐나고 있다. 이러한 곤경에 직면했을 때, 우리는 그저 절망할 수밖에 없는 것일까? 불합리한 현실에 직면했을 때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 베스트셀러《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기시미 이치로는 불합리한 일이 만연해 있는 이 시대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진정한 분노, 즉 ‘공분(公憤)’이라고 말한다. 이는 인간의 존엄, 인격의 독립성, 그리고 올바른 가치가 위협당하고 침해당할 때 느끼는 분노이며, 감정으로서가 아닌 지성으로서의 분노이다. ​ 이에 저자는 아들러, 소크라테스, 플라톤, 미키 기요시, 에리히 프롬 등 위대한 사상가들의 생각을 들여다보면서 지성적 분노가 무엇인지 다각도로 살핀다. 우리가 분노해야 할 때가 언제인지, 분노해야 할 때 그냥.. 2023.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