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12. 신간 도서 스케치

땅속의 용이 울 때

by 제네시스33 2023. 5. 20.
728x90
반응형

《땅속의 용이 울 때》는 도시적인 허무 사이로 환청처럼 들리는 생명의 울음에 관한 이야기다. 어째서 땅속에 용이 있다는 걸까? 그것에는 무기적 세계를 유기적 생명으로 바꾸는 기적의 마음이 담겨 있다.

현재의 관점에서 기술한 이 책은 기념비적인 고전의 완결편이다. 저자 이어령이 20대 청년 시절 치열한 문제의식으로 기록한 《흙 속에 저 바람 속에》(1963년 출간)가 그 원전. 이 최초의 한국문화론은 1962년 경향신문에 처음 연재되었고, 이듬해 단행본으로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오늘까지 한 번도 인쇄기가 멈춘 적이 없는 스테디셀러로서 오랫동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이 책은 일본, 미국 등에서도 한국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로 여겨져 왔다. 실로 우리 시대의 고전이라는 말이 부족하지 않은 책.

따라서 출간 이후 60년간 책 내용의 전면적 개정은 불가능할 수밖에 없었다. 저자가 책에 담으려 했던 당대의 고민은 그 자체로 역사적인 것이니까. 하지만 시간이 흘러 한국이 상전벽해의 변화를 겪는 과정을 지켜보며, 새로운 깨달음과 문제의식이 솟아나는 것도 저자에게는 당연한 일이었겠다.

60년 전 청년 이어령이 비판했던 것이 가난한 농업국가였던 한국의 현실이었다면, 지금의 저자가 경계하는 것은 한국의 휘황한 도시 풍경 속에 숨겨진 무력감이다. 기계문명의 선도적인 사회인 한국은 그만큼 땅과 흙이 상징하는 생물학적 삶과는 멀어지고 말았다.

이어령이 지금 여기서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은 때로는 문자 그대로의 흙이기도 하고, 흙에서 기른 채소이기도 하고, 흙에서 사는 지렁이이기도 하며, 또는 흙이라는 이름으로 비유할 수 있는 것들, 이를테면 어머니에게서 배운 우리말이기도 하다.

문필가이자 국어학자답게, 저자는 특히 우리말의 가치에 집중한다. 한국인의 삶 속에서 우리말을 살리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들을 이야기하며, 저자는 초대 문화부 장관 시절의 일화들, 역사적 전환의 과정에서 목격자로서 또는 참여자로서 함께했던 여러 후일담 등, 다른 누구도 할 수 없는 자신만의 이야기를 털어놓는다.

창조의 무대를 찾아 끊임없이 도전하는 현재성으로 충만한 대화, 《땅속의 용이 울 때》. 한국의 ‘흙과 땅’에 얽힌 이야기를 최종 정리하는 완성의 의미를 가진 책이다. 《별의 지도》(끝나지 않은 한국인 이야기 1권)와 마찬가지로, 저자와 생전 가장 많은 인터뷰를 진행했던 지음(知音), 김태완 작가가 정리했다.

출판사 서평​

​​

‘한국인’이란 누구일까. ‘한국적’이란 무슨 의미일까. 한국에서 그 물음은 1962년 최초로 던져졌다. “어둡고 살벌하고 답답”하던 시절, 20대 청년다운 비판적 자세를 매섭게 견지하면서도, 한국문화의 가치와 우리말의 아름다움에 주목했던 이어령 작가의 ‘흙 속에 저 바람 속에’가 경향신문에 연재되었던 것.

그리고 노년이 된 저자는 다시 ‘한국인 이야기’의 원고를 쓰기 시작했다. ‘한국인 이야기’ 총 4권, ‘끝나지 않은 한국인 이야기’ 총 6권으로 기획된 총 10권의 시리즈 가운데 첫 번째 권만 저자 생전에 출간되었고, 나머지 책들은 유고 원고로 남아 현재 출간이 진행 중이다.

‘한국인 이야기’ 시리즈 가운데 여섯 번째 책인 《땅속의 용이 울 때》. ‘땅’ 또는 ‘흙’이라는 주제로, 시리즈의 메인 테마인 한국문화에서의 생명의 가치를 조명하는 책이다. ‘땅속의 용’이라는 제목의 정체는 사실 하찮아 보이는 흙 속의 지렁이다. 하지만 지렁이만큼 인류의 역사에 중요한 것은 없다고 저자 이어령은 역설한다.

진화론의 찰스 다윈이 말년에 가장 공들여 연구한 동물이 바로 지렁이고, 소설가 박완서가 처음 문학잡지에 내놓은 단편 제목에 등장하는 주인공이 또한 지렁이다. 오랜 옛날 한국인들이 그것을 토룡(土龍) 또는 지룡(地龍, 땅에 사는 용, 지렁이의 어원)이라고 부른 것은 다 까닭이 있어서다.

지렁이는 흙 속의 무기물을 유기물로 바꾸어 생명의 살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한다. 땅속의 숨은 영웅이라는 타이틀이 아깝지 않은 존재다. 즉 한국의 들판에서 전설처럼 내려오는 지렁이의 울음소리는 곧 인간에게, 일상에 매여 삶 없는 삶을 살아가는 인간에게 진짜 ‘삶’을 요청하는 환상의 웅변이었던 셈이다.

《땅속의 용이 울 때》는 이어령의 유고작 ‘한국인 이야기’ 시리즈 가운데에서도 또 다른 특별함이 있다. 한국문화론의 효시인 《흙 속에 저 바람 속에》의 관점을 직접적으로 수정·보완하는, 일종의 특별판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 저자는 ‘흙 속에 바람 속에’ 연재 당시 자신이 가졌던 창작욕과 고민들을 털어놓으며, 한편으로는 당시 썼던 내용에 정정이 필요함을 솔직하게 고백하기도 한다.

1963년의 책 서두에 적힌, 지프차를 보고 도망가는 노부부의 뒷모습에 관한 묘사는 오랫동안 명문으로 회자되어 왔다. 그때 청년 이어령이 절절한 심정으로 토로하는 문장들은 지금 보아도 현장감이 생생하다. 그럼에도 60년이 지난 지금 이어령의 하는 말은 ‘그때의 내가 틀렸다’이다.

제암리 학살 사건의 생존자인 할머니의 뒷모습에서, 저자는 고난에도 꺾이지 않았던 한국인의 뒷모습을 새로이 본다. 그것은 어쩌면 원시시대부터 우리를 먹여 살렸던 위대한 할머니의 모습 그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저자가 《흙 속에 저 바람 속에》의 히트 이유로 꼽는 우리말 사랑의 정신도 《땅속의 용이 울 때》의 이야기 속에 그대로 계승되어 있다. 초판본 서문에 ‘이어영’이라고 적어넣었던 이야기, 문화부 장관 시절 ‘갓길 장관’이라고 불렸던 일화, 정부청사 앞에 바람개비를 설치했던 일화, 명조체를 버리고 안상수체를 도입했던 일화 등이 흥미롭다.

저자_ 이어령

1933년 충남 아산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능소(凌宵)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문학평론가이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이화여대 교수, 20대부터 《서울신문》 《한국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등 신문사 논설위원, 88올림픽 개폐회식 기획위원, 초대 문화부장관, 새천년준비위원장, 한중일 비교문화연구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2021년 한국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예술 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금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대표 저서로 논문·평론 《저항의 문학》 《공간의 기호학》 《한국인 이야기》 《생명이 자본이다》 《시 다시 읽기》, 에세이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릴 때》 《디지로그》 《젊음의 탄생》 《지성에서 영성으로》 등

수십 권, 일본어 저서 《축소지향의 일본인》 《하이쿠로 일본을 읽다》 외, 소설 《장군의 수염》 《환각의 다리》와 시집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 《헌팅턴비치에 가면 네가 있을까》 《날게 하소서》를 펴냈으며, 희곡과 시나리오 《기적을 파는 백화점》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 등을 집필했다.

말년에 오랜 지적 탐구를 집대성한 ‘한국인 이야기’(전4권)와 ‘끝나지 않은 한국인 이야기’(전6권) 시리즈를 집필해 왔으며, 방대한 유고를 남기고 2022년 2월 26일 별세했다. ‘한국인 이야기’ 시리즈 《너 어디에서 왔니》 《너 누구니》 《너 어떻게 살래》 《너 어디로 가니》가 출간되었고, ‘끝나지 않은 한국인 이야기’ 시리즈 《별의 지도》가 출간되었다.

반응형

'도서 > 12. 신간 도서 스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선순위의 법칙  (0) 2023.06.15
일의 본질  (0) 2023.06.11
불안이 젖은 옷처럼 달라붙어 있을 때  (0) 2023.05.20
채권투자 처음공부  (2) 2023.05.16
정말 잘 지내고 있나요?  (0) 2023.05.15

댓글